MySQL은  latin1으로 기본인코딩 설정이 되어있다.
따라서 html 및 php 파일등의 인코딩을 utf-8로 사용할 경우,
잘못된 인코딩으로 데이터가 표현될 수 있다.

MySQL은  /etc/my.cnf파일을 참조하게 되어있으며,
아래의 인코딩 설정을 통해 utf-8을 사용할 수 있다.


[mysql]   
default-character-set = utf8  
  
[mysqld]   
character-set-client-handshake=FALSE  
init_connect="SET collation_connection = utf8_general_ci"  
init_connect="SET NAMES utf8"  
default-character-set = utf8  
character-set-server = utf8  
collation-server = utf8_general_ci  
  
[client]    
default-character-set = utf8  
  
[mysqldump]    
default-character-set = utf8
AND


httpd.conf 파일안에 아래 위치에 진한 부분을 추가한다.
<IfModule mime_module>
    AddType application/x-httpd-php .php .php3 .inc .ph .htm .html
</IfModule>


완료후,
service httpd restart
AND


TINYINT (-128 ~ 127)
SMALLINT (-32768 ~ 32767)
MEDIUMINT (-8388608 ~ 8388607)
INT (-2147483648 ~ 2147483647)
BIGINT (-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
FLOAT
DOUBLE
DECIMAL(NUMERIC)
DATE (1000-01-01 ~ 9999-12-31, YYYY-MM-DD)
DATETIME (1000-01-01 00:00:00 ~ 9999-12-31 23:59:59, YYYY-MM-DD HH:MM:SS)
TIMESTAMP (1970-01-01 00:00:00 ~ 2106..., YYYYMMDD[HH[MM[SS]]]) O
TIME (-838:59:59 ~ 838:59:59, HH:MM:SS)
YEAR (1901 ~ 2155, 0000, YYYY)
CHAR
VARCHAR
TINYTEXT (0 ~ 255)
TEXT (0 ~ 65535)
MEDIUMTEXT (0 ~ 16777215)
LONGTEXT (0 ~ 4294967295)
TINYBLOB (0 ~ 255)
BLOB (0 ~ 65535)
MEDIUMBLOB (0 ~ 16777215)
LONGBLOB (0 ~ 4294967295)
AND

한때 GIF파일을 웹에서 자주 사용했었다.
바로 투명(transparency)을 지원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저작권과 관련하여 여기저기에서 말들이 많이 나와 PNG라는 새로운 형식이 나왔다.
반갑게도 점차 많은 웹편집기에서 사용하는 이미지로 jpg, gif 외에 png를 지원하고 있다.

알파채널이 포함된 png24 형식은 모질라 파이어폭스에서는 제대로 보이는데 인터넷익스플로러에서는 불투명하게 보여 사용자의 의도대로 웹에 보이지 않는다. 익스플로러7에서는 제대로 보인다고 한다.

익스플로러5나 익스플로러6에서도 제대로 보이게 하는 방법이다.

1. <head>와 </head>사이에 다음 스크립트를 삽입한다.

<script language="javascript">
<!--
    function setPng24(obj) {
        obj.width=obj.height=1;
        obj.className=obj.className.replace(/\bpng24\b/i,'');

        obj.style.filter =

        "progid:DXImageTransform.Microsoft.AlphaImageLoader(src='"+ obj.src +"',sizingMethod='image');"
        obj.src='';
        return '';
    }
//-->
</script>

2. <head>와 </head> 사이에 다음의 스타일을

<style type="text/css">
.png24 {
   tmp:expression(setPng24(this));
}
</style>

3. 표시하고자 하는 png 이미지의 링크에 다음을 추가한다.

<img src="./images/dap_100.png" class="png24">

출처 : http://blog.naver.com/prettyjii/100037708588

AND

GIF Loading Image

Development/WEB 2007. 5. 25. 16:37
Created with http://www.ajaxload.info/


사용자 삽입 이미지

Try it. You will like it.
AND

본인이 사용하는 Blog서버가 BlogAPI를 지원한다면, MS Word 2007의 blog 게시 기능을 사용하여 blog에 글을 게시 할 수 있다.

출처 : http://manual.tistory.com/719

AND

제  목 : vsftpd 설치와 운영 (한글로그 패치 포함)
작성자 : 좋은진호(truefeel,
http://coffeenix.net/ )
작성일 : 2003.10.01(수)

이 글은 7월에 썼던 'vsftpd에서 한글파일로그와 lastlog 로긴확인하기'를 기초로 작성하였다.

vsftpd는 UNIX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free FTP 서버(라이센스는 GPL)이다.
vsftpd가 내세우고 있는 것은 보안, 성능, 안정성이다. 지금까지 vsftpd의 자체 보안 문제가 있어 보안권고가 나온 적은 없다.(Redhat의 rpm 패키지중에 tcp_wrappers 지원없이 만들어져서 업데이트 rpm은 나온 적 있음)

출처 : http://zneo.com

AND

1. 서브 디렉토리까지 파일안의 문자열 모두 검색
find ./ -name "*" -exec grep 'abc' {} ; -print
find . -name -print -exec grep abc {} ;
grep -r abc *
 

2. haha와 huhu가 동시에 들어있는 행 뽑기
grep haha foo.txt | grep huhu


3. 찾아서 지우기
find / -name "*.eml" -exec rm -f {} ;

출처 : http://hacks.egloos.com/1169903

AND

1.FTP 란

앞 강좌인 proftp에서도 언급을 하였지만 바로 vsftp를 보시는분을 위하여 약간의 중복내용이 있겠습니다.

FTP는 "File Transfer Protocol" 의 약자로써 쉽게 말해 서버에(=홈페이지) 에 자료를 올리기위한 규정같은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다른 자료들을 보면 구구절절 내용이 많은데 내용적인 측면을 공부하시려면 좀더 자료를 찾아 보시고 여기서는 간략하게 Linux 에서 ftp를 설치하고 사용하는데 필요한 계념및 정보들을 알려드리는게 맞는것 같습니다. 


출처 : http://blog.naver.com/jsoh5228/150017285670

AND

텍스트필드 자동완성 기능 끄기

<form ..... autocomplete="off">
또는
<INPUT TYPE="Search_String" AUTOCOMPLETE="off">
AND